300x250

    기생충, 과거 1960~70년대 우리나라의 기생충 감염률은 60~70%로 굉장히 높았습니다. 한 집안에 한 명만 감염이 되어도 가족 전체가 기생충에 감염이 되었죠. 그 이유는 가족끼리는 같은 음식을 먹기 때문이죠. 그래서 기생충이 의심될 때는 알벤다졸과 같은 구충제를 먹었습니다.



    기생충은 민물 생선, 바다 생선의 내장, 중국산 김치, 유기농 채소 등등에서 기생충이 발견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예전에는 봄과 가을 매년 2차례씩 학교나 가정에서 단체로 구충약을 먹고는 했지만, 최근에는 식습관이 개선되고 약이 좋아져서 구충약을 잘 안 먹죠. 하지만 우리는 기생충이 많이 없어졌다고 해도 알벤다졸을 1년에 2번은 먹어야 합니다. 왜 그럴까요?



    한국의 기생충 감염은 2~3% 하지만 당신이 그 안에 들 수 있다.


    우리나라의 기생충 감염률은 약 3%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그 안에 들 수도 있죠. 아무리 식품에 약을 많이 쳐도 유기농 음식을 먹거니 날 것을 즐겨 먹다 보면 한 번쯤은 걸릴 수 있는 게 기생충이죠.



    숙주를 죽이지 않는다고 해도 기생충이 몸 안에 들어와 있다면 매우 꺼림칙하겠죠. 장내의 기생충은 약국에서 구입할 수 있는 구충제로도 충분히 없앴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흡충류는 민물 생선 섭취 시에 생기기 때문에 의사의 처방이 필요합니다.



    기생충을 굶겨 죽이는 알벤다졸


    옛날에는 똥을 쌌는데 아니면 똥구멍이 가려워서 확인을 해보니 기생충(요충)이 보였고, 구충제를 먹으면 대변과 함께 나온다고 말했죠. 그 당시에는 기생충을 산채로 마비시켜서 대변을 통해 나오는 작용이었기 때문이죠. 생각만 해도 징그럽네요.



    하지만 알벤다졸과 같은 최근의 구충제는 기생충이 먹는 포도당 흡수를 방해하는 작용으로 기생충을 굶겨 죽이는 방식을 합니다. 그러므로 죽어서 소화액에 녹아 없어지게 됩니다. 대변으로 흰색 기생충을 볼 일은 없죠.



    알벤다졸을 유아에게 복용해야 할 때는 의사와 함께 상의하셔야 합니다. 약학정보원 자료에 의하면 수유부, 임부, 2세 미만의 소아에게는 투여할 수 없다고 나와 있습니다. 부작용으로는 확률이 낮기는 하지만 발열, 두통, 오심, 현기증, 설사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약 10만 명당 1명에서 10명의 빈도입니다.


    알벤다졸은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는 기생충 치료제로서 매우 안전한 약제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장기간 사용에는 부작용이 생길 확률이 더 키질 수 있습니다.


      


     


    300x250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