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성 오메가3
혈액순환에 심혈관질환예방에 좋다는 오메가3. 그런데 식물성과 동물성 오메가3가 따로 있다는데 무슨 차이가 있으며, 어떤 것이 더 안전하고 효능이 좋은 것일까요? 식물성이 뭔가 더 좋아보이기는 하며 동물성 오메가3에는 중금속이 있을 확률이 있다고도 하는데 이것은 정말일까 궁금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직접 검색하여 알아보려고 합니다.
오메가3 효능에 대해서는 사실 주저리주저리 말을 하지 않아도 대부분 아실것이라고 믿지만, 또 알아둬도 나쁠 것은 없으니 다시한번 간략하게 설명해보고 넘어가보고자 합니다. 오메가3의 가장 큰 효능은 혈액을 맑게 해주는 것이며,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주는 것입니다. 이는 비만인구가 늘어나는 요즘과 같은 시대에 매우 좋은 영양제죠. 거기에 고지혈증도 예방해줍니다.
동물성 오메가3
위에서 잠깐 언급했지만 오메가3 지방산에는 식물성 오메가3와 동물성 오메가3가 있습니다. 동물성 오메가3를 에는 각종 생선이 있는데요. 주요 생선의 종류에는 고등어, 청어, 참치, 연어, 정어리, 대구간유, 황새치등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100g 당 오메가3 지방산 함유량이 가장 많은 것은 연어어로서 조사결과 2600mg이 들어있습니다. 이 정도면 꽤 많은 정도죠.
여기서 잠깐 오메가3 지방산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자면, 오메가3 지방산은 불포화 지방산에 들어갑니다. 아니, 지방이면 살 찌고 나쁜 거 아니야? 그거를 먹는다고? 라고 생각하실 수 있지만, 불포화 지방산은 몸에 좋은 지방산에 속합니다. 그리고 이 불포화 지방산은 EPA, DHA, 그리고 알파 리놀렌산들을 묶어서 부릅니다.
EPA, DHA란 무엇일까?
오메가3에 관심이 많으시다면 EPA, DHA에 대해서는 많이 들어보셨을겁니다. 특히 청소년기 신체 및 뇌건강에 좋다면서 EPA와 DHA를 섭취를 권장하고는 하죠. EPA의 정식 명칙은 에이코사펜타엔산이며 DHA의 정식 명칭은 도코사헥사에노산입니다. 건강한 지방산에 대해서 언급할 때 주로 언급되는 물질들이며 식물성 오메가3 보다는 동물성 오메가3에 많이 들어있습니다.
기름기가 많은 어류나 해조류 등에서 많이 섭취할 수 있는 EPA와 DHA는 세포막 성장 및 발달에 도움을 줍니다. 또한 뇌 건강과 눈 건강 그리고 신경계의 성장 및 발달을 보조하며, 심혈관질환 예방 및 중성지방수치를 건강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게끔 도와주는 우리 몸에 필수적인 영양소 중 하나죠.
식물성 오메가3란?
동물성 오메가3에 대해서 이렇게 알아보았는데요. 그렇다면 식물성은 무엇일까요? 유채씨기름, 우리에게는 캐놀라유로 익숙하죠. 그리고 아마씨기름, 호두, 호박씨 등에 들어있는 오메가3가 식물성 오메가3입니다. 식물성에는 알파 리놀렌산이라고 불리는 물질이 풍부하게 들어있습니다. 유채씨기름에 약 11퍼센트가 함유되어 있어 식물성 오메가3 중에서는 가장 많이 들어있죠.
알바리놀레산은 ALA라고도 불립니다. ALA도 오메가 3 지방산의 종류 중 하나이지만, 오메가3의 효능을 얻기 위해서는 ALA가 EPA 및 DHA로 전환이 되어야합니다. 대게 체내에서 EPA, DHA로 전환이 되기는 하지만, 전환율을 1퍼센트 미만으로 매우 낮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오메가3 효능을 제대로 보기 위해서 식물성 오메가3를 섭취하는 것은 최적의 방법은 아니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메가3 보충제에서 중요한 것
오메가3 를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섭취할 경우 효능을 제대로 보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오메가3 지방산 EPA, DHA의 함량입니다. 오메가3 지방산을 전문 의약품으로 섭취할 경우에는 1000mg당 90퍼센트 이상의 오메가3 지방산이 포함되어 있지만, 건강기능식품으로 나올 경우에는 30퍼센트 정도가 함유되어 있기도 합니다.
오메가3가 건강기능식품으로 섭취가 많이 되고는 있지만 심장질환이 있는 분들이나, 중성지방을 낮추기 위해서 복용하시는 분들도 더러 계십니다. 몇몇 연구에 따르면 십장질환 예방을 위해서는 하루 1g의 오메가3 지방산 섭취가 권장되며, 중성지방감소를 위해서는 2-4g의 오메가3 지방산 섭취가 권장된다고 합니다.